  | 
	
 | 	
	  | 
	
	
		
	  |  
	| 
	
	 |  
	 
		
		
			
			
			데이터베이스를 백업 받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. 
			하나는 db 를 통째로 받는 방법과 table을 각각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. 
 
  
			 1. 데이터베이스 백업하기
			
			1) db 를 통체로 받는 방법
  
			mysql 은 /usr/local/mysql 에 설치되어 있습니다. 
			먼저 텔넷으로 계정에 접속하신 뒤 아래와 같이 입력하십시오. (텔넷 사용법)
  
			빨간색으로 된 부분은 고객님의 DB 계정 정보를 입력하시기 바랍니다. 
			DBid는 고객님의 DB 접속 아이디이고, DBname은 고객님의 DB명입니다. 해당 정보는 내정보의 웹호스팅 정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  
			방법 : /usr/local/mysql/bin/mysqldump -uDBid -p DBname > dbback.sql 
			password :          <=== 패스워드 입력
  
			위와 같이 하시면 db 를 통째로 모두 받으실 수 있습니다.
  
			2) db 의 특정 table 만 받는 방법
  
			텔넷으로 계정에 접속하신 뒤 아래와 같이 입력하십시오.
  
			빨간색으로 된 부분은 고객님의 DB 계정 정보를 입력하시기 바랍니다. 
			DBid는 고객님의 DB 접속 아이디이고, DBname은 고객님의 DB명입니다. 해당 정보는 내정보의 웹호스팅 정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			또한 tablename은 고객님께서 받고자 하시는 테이블명을 쓰시면 됩니다.
  
			방법 : /usr/local/mysql/bin/mysqldump -uDBid -p DBname tablename > tableback.sql 
			password :          <=== 패스워드 입력
  
			위와 같이 백업을 받으시고 파일로 다른 디렉터리나 ftp 를 사용하셔서 다운 받아 놓으면  mysql 에러 시 복구를 할 수 있어 데이터 손실률을 최소로 할 수 있습니다.  |  
		  |  
   |  
   |  
	 
		
		
			 2. 데이터베이스 복구하기
				
				table 또는 DB 전체 백업 복구 방식
  
				텔넷으로 계정에 접속하신 뒤 아래와 같이 입력하십시오.
  
				빨간색으로 된 부분은 고객님의 DB 계정 정보를 입력하시기 바랍니다. 
				DBid는 고객님의 DB 접속 아이디이고, DBname은 고객님의 DB명입니다. 해당 정보는 내정보의 웹호스팅 정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				또한 tableback.sql은 고객님께서 백업 받아 놓으신 파일명을 쓰시면 됩니다.
  
				/usr/local/mysql/bin/mysql -uDBid -p DBname < tableback.sql 
				password :          <=== 패스워드 입력
  
				위와 같이 백업과 복구가 가능합니다.  |  
		  |  
	 |  
 
					
					 | 
					  |